열에 일곱은 마크 로스코의 그림을 보고 눈물을 흘린다


로스코1.png


몇 해 전 일이다. 나는 아는 사람에게서 당시 예술의전당 한가람 미술관에서 열린 
마크 로스코(1903~1970) 전시회 표 몇 장을 선물받았다. 로스코는 1930~1940년대 미국 미술의 
힘을 전 세계에 각인한 추상표현주의의 일부였던색면화 color field painting’의 대표화가로
대개 커다란 화폭에 두 개 혹은 세 개 정도 색을 사용해 경계가 희미한 사각형을 그려 넣은 

작품들로 잘 알려져 있다.


그렇게 느긋하게 전시장을 돌아다니던 나는 어두운 실내 한구석에 따로 코너를 마련해서 
전시 중인 거대한 작품 앞에 서게 되었다. 검은색과 짙은 회색만으로 이루어져 로스코 그림 
중에서도 유독 어두운 그림이었다. 처음에는 떨어져서 보다가 그림 앞으로 한 걸음 발을 
옮겨 가까이 다가섰다. 내가 작품 앞에서 느닷없이 울음을 터뜨린 건 바로 그 순간이었다.

슬픔은 복잡한 감정
기록들을 보면 로스코 다음으로 많은 사람이 우는 작품이 장 프랑수아 미예(밀레) <만종>이다
이 작품에 관해서는 미예 작품전이 파리에서 열린 1887년 당시 미예와 경쟁관계에 있던 
인상파 화가 카미유 피사로(1830~1903)가 남긴 기록이 있다. 피사로는 그 전시장에서 지인을 
우연히 만났는데방금 큰 충격을 받았다라며 눈물을 펑펑 쏟았다고 했다. 피사로는 그 사람 

가족이 세상을 떠났나 했는데, 알고 보니 미예의 <만종>을 보고 충격을 받아 울었던 것이다.



도시02.png


흥미로운 것은 로스코나 미예의 작품이슬픈 장면을 묘사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예술작품 중에는 <피에타>와 같이 누구나 알고 있는 슬픈 이야기의 한 장면을 묘사한 것들이 
많은데, 정작 사람들이 많이 운다는 이 두 작품에는 그런이야기가 없다

그렇다면 이 작품들의 어떤 부분이 사람들을 울게 만들까?

 
이를 이해하려면 슬픔이라는 감정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영화 배우들의 말을 들어보면 
가장 쉬운 감정표현은 폭발하는 분노라고 한다. 분노는 거칠고 단순하다. 반대로 슬픔은 
(특히 그것이 오열이 아닐 경우) 아주 복잡한 감정의 혼합인 경우가 많다. 후회, 상실감, 외로움
그리움, 절망 등은 모두 슬픔을 느끼게 하는 요소들이지만 각 감정의 경계선은 아주 모호하고
대개 몇 가지 감정이 슬픔 속에 혼재되어 나타난다.

카운슬러가 상주하는 예배당
다시 그림으로 돌아가서 미예의 <만종>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로스코 작품과 유사성이 발견된다
어둡고, 무겁고, 정적인 화폭에 희미하게 등장한 형체들은 지나치게 어두워서 디테일이 쉽게 
구분되지 않고 경계선은 모호하다. 우리는 그렇게 경계가 희미한 색채의 전이를 보면서 알 수 
없는먹먹함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그 먹먹함은 대개 이유를 하나만 집어낼 수 없는 복잡한 
감정이다. 로스코와 미예 작품에 등장하는 어둡고 희미한 색면은 그렇게 설명하기 힘든 사연과 
다양한 감정을 머금어 언제라도 눈물이 되어 쏟아질 수 있는 먹구름 같다.
 
로스코는 말년에 건강이 매우 나빠져 작품활동에도 크게 제약을 받았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아내와 사이가 나빠져 황혼 이혼을 한 로스코는 1년 후인 1970 66세로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자신의 작품들을 통해 관객들이 종교적 체험을 하기를 원했던 로스코가 세상을 떠난 후 사람들은 
그의 작품을 모아로스코 채플(예배당)’을 만들었고, 이 채플은 그의 작품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하나의 성지순례 코스가 되었다.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이 채플에는 검은색의 거대한 색면화가 벽을 둘러가며 걸려 있다
이곳이 마티스 같은 다른 예술가들의 채플과 다른 점이 있다면, 여기 걸린 로스코 작품들을 
보다가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우는 관객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진정시켜주는 카운슬러가 

상주한다는 사실이다.



도시03.png

도시04.png


도시는 다정한 미술관.jpg
인터넷 구매처     서점_교보.png 서점_yes24.png 서점_알라딘.png